효민사 제향(孝愍祠 祭享)






기신제향 화보(忌辰祭享 畵報)

(전향례)

(신도를 지나는 축함을 향해 참반원이 예를 표하다.)

(제향봉행을 위해 참반원 도열)

(헌관 과 제관)

(제관 입취위)

(참신례 / 헌관 재배 후 참반원이 재배한다.)

(강신례 / 삼상향)

(초헌례 / 헌잔)

(초헌례 / 독축)

(아헌례 / 헌잔)

(종헌례 / 헌잔)

(망료 / 분축)

(제관 환복위)

(예성 / 제향 후 헌관· 제관이 모여 상호 예를 갖추다.)

(제향을 마치과 참반 종친과 함께)

(제향을 마치고 대학입학생과 함께)
기신제향 홀기(忌辰祭享 笏記)
∆ 執禮謁者先入拜位鞠躬再拜訖就位
○ 謁者引監察及大祝祝史齋郞司罇入就拜位
○ 監察及諸執事鞠躬再拜興平身
○ 謁者引監察及諸執事詣盥洗位洗訖各就位
◉ 行請行禮
◯ 謁者引諸獻官入就拜位西向立
◯ 叅班員入就拜位北向立
◯ 大祝跪捧出神主告辭
◯ 大祝啓龕仍啓櫝
◉ 行叅神禮
◯ 謁者引諸獻官鞠躬再拜興平身
◯ 叅班員鞠躬再拜興平身
◯ 大祝進饍
◉ 行降神禮
◯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洗訖
◯ 謁者引初獻官陞自東階詣罇所北向立
◯ 司罇酌酒齋郞以盞受酒
◯ 謁者引初獻官詣神位前跪
◯ 三上香
◯ 初獻官捧鬯杯灌于茅沙上俯伏興平身
◉ 行初獻禮
◯ 謁者贊初獻官跪
◯ 執盞獻盞
◯ 大祝進炙
◯ 大祝啓盖西柄正匙箸
◯ 謁者贊初獻官俯伏興小退跪
◯ 亞獻官終獻官執事及叅班員俯伏
◯ 大祝初獻官之左東向跪讀祝
◯ 諸獻官執事及叅班員興平身
◯ 謁者引初獻官降復位
◉ 行亞獻禮
◯ 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洗訖
◯ 謁者引亞獻官陞自東階詣罇所北向立
◯ 司罇酌酒齋郞以盞受酒
◯ 謁者引亞獻官詣神位前跪
◯ 執盞獻盞
◯ 謁者贊亞獻官俯伏興平身
◯ 謁者引亞獻官降復位
◉ 行終獻禮
◯ 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洗訖
◯ 謁者引終獻官陞自東階詣罇所北向立
◯ 司罇酌酒齋郞以盞受酒
◯ 謁者引終獻官詣神位前跪
◯ 執盞獻盞
◯ 謁者贊終獻官俯伏興平身
◯ 謁者引終獻官降復位
◯ 大祝揷匙印箸
◯ 大祝及祝史齋郞司罇闔門降復位
◯ 諸獻官執事及叅班員俯伏
◯ 諸獻官執事及叅班員興平身
◯ 大祝先出喉聲諸執事啓門各就位
◉ 行進茶禮
◯ 大祝退羹進茶
▽三抄飯和茶暫竢候
◉ 行辭神禮
◯ 謁者引諸獻官鞠躬再拜興平身
◯ 叅班員鞠躬再拜興平身
◯ 大祝撤匙箸合飯盖移盞
◯ 大祝捧納神主
◉ 望燎
◯ 謁者引初獻官詣望燎位北向立
◯ 大祝捧祝出自正門詣望燎位西向立
▽ ◦揖授初獻官 ◦初獻官還授大祝
◯ 可燎
◯ 大祝捧祝焚於燎所
◯ 大祝告禮畢
◯ 謁者引初獻官還復位
◯ 監察及諸執事俱復拜位
◯ 監察及諸執事鞠躬再拜興平身
◯ 禮畢
▽ 集禮謁者復拜位鞠躬再拜興平身
▽ 飮福 ▽禮成 ▽ 撤饍
홀기해설 및 제관봉무요령
▽執禮謁者先入拜位鞠躬再拜訖就位 집례알자선입배위국궁재배흘취위
(∆해설) 집례와 알자가 먼저 절할 자리로 들어서 국궁재배하고 봉무 할 자리로 갑니다.
→ 대축이 전창(傳唱)한다. : 집례, 알자 국궁(鞠躬) 배.흥.배.흥 흥평신
(봉무) 집례와 알자가 먼저 국궁재배하고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고, 집례는 서계아래에서 동향하여 서고, 알자는 초헌관 반보 뒤에 선다.
알자 (부르오)
◯ 謁者引監察及大祝祝史齋郞司罇入就拜位 알자인감찰급대축축사재랑 사준입취배위
(해설) 감찰과 대축, 축사, 재랑, 사준이 알자의 인도로 배석에 들어섭니다.
알자(부르오)
◯ 監察及諸執事鞠躬再拜興平身 감찰급제집사국궁재배흥평신
(해설) 감찰과 제집사는 알자의 전창으로 국궁 재배합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監察及諸執事詣盥洗位洗訖各就位 알자인감찰급제집사예관세위세흘각취위
(해설) 감찰과 제 집사는 알자의 인도로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고 봉무 할 자리로 갑니다.
(봉무) 제 집사는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고 동계로 올라 서문으로 들어
∙ 대축과 축사는 제상 좌우로 나아가 마주보고 서서 점 촉을 하고 대축은 서문 안쪽에서 동향하여 서고 축사는 동문 안쪽에서 서향하여 선다. 재랑은 준소 앞에 동향하여 서고, 사준은 준소 뒤에 서향하여 선다.
∙ 감찰은 동계아래 중앙신도 옆에서 북향하여 선다.
알자(부르오)
◉ 行請行禮 행청행례
(해설) 신을 청해 모시는 예를 행합니다.
◯ 謁者引諸獻官入就拜位西向立 알자인제헌관입취배위서향립
(해설) 모든 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배석에 들어 서향하여 섭니다.
알자(부르오)
◯ 叅班員入就拜位北向立 참반원입취배위북향립
(해설) 참반원은 절할 자리로 들어 북향하여 섭니다. 알자(부르오)
◯ 大祝跪捧出神主告辭 대축궤봉출신주고사
(해설) 대축이 꿇어앉아서 신주 내모시기를 고합니다. 알자(부르오)
(봉무) 대축은 신위 전에 꿇어앉아서 신주를 정청으로 모시겠다는 고사축을 읽는다.
알자(부르오)
◯ 大祝啓龕仍啓櫝 대축계감잉계독
(해설) 대축이 감실을 열고 이어서 독을 엽니다.
(봉무) 대축은 감실을 열고 이어서 독함 뚜껑을 열어 감실 밑에 놓는다.
알자(부르오)
◉ 行叅神禮 행참신례
(해설) 신주(神主)에 절하여 뵙는 의례를 행합니다.
◯ 謁者引諸獻官鞠躬再拜興平身 알자인제헌관국궁재배흥평신
(해설) 모든 헌관이 알자의 인도로 두 번 절하고 일어섭니다.
→ 알자가 전창(傳唱)한다. : 제 헌관 국궁, 배. 흥. 배. 흥 흥평신
알자(부르오)
◯ 叅班員鞠躬再拜興平身 참반원국궁재배흥평신
(해설) 참반원은 두 번 절하고 일어섭니다.
→ 집례가 전창(傳唱)한다. : 참반원 국궁, 배. 흥 .배. 흥 흥평신
알자(부르오)
◯ 大祝進饍 대축진선
(해설) 대축이 제찬을 올립니다.
(봉무) 대축과 축사가 제찬과 면의 뚜껑을 열고 봉지를 벗기는데 앞에서부터 뒤로 순차적으로 한다.
알자(부르오)
◉ 行降神禮 행강신례
(해설) 신을 맞이하는 의례를 행합니다.
◯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洗訖 알자인초헌관예관세위세흘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습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初獻官陞自東階詣罇所北向立 알자인초헌관승자동계예준소
북향립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동계로 올라 준소에 나아가 북향하여 섭니다.
알자(부르오)
◯ 司罇酌酒齋郞以盞受酒 사준작주재랑이잔수주
(해설) 사준이 술을 따르고, 재랑이 잔을 들어 술을 받습니다.
(봉무) 초헌관이 북향하여 서면 재랑은 강신 잔을 받들고 사준은 울창주 주전자를 들어 따른다. 이어서 재랑이 초헌 잔을 받들면 사준은 제주 주전자를 들어 술을 가득 따르는데, 두 잔이다. 초헌관은 이를살핀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初獻官詣神位前跪 알자인초헌관예신위전궤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신위 전에 나아가 꿇어앉습니다.
알자(부르오)
◯ 三上香 삼상향
(해설) 초헌관은 향합의 향을 세 번 나누어 향로에 넣습니다.
(봉무) 대축과 축사가 좌우에서 동시에 꿇어앉아 축사는 향합을 받들고 대축은 향로 뚜껑을 연다. 알자가 “삼상향”을 아뢰고, 초헌관이 향을 세 번 넣고 나면, 향로 뚜껑을 닫고 향합은 자리에 올려놓고 동시에 일어선다.
알자(부르오)
◯ 初獻官捧鬯杯灌于茅沙上俯伏興平身 초헌관봉창배관우모사상부복흥평신
(해설) 초헌관은 울창잔을 받들어 모사 상에 붓고 일어섭니다.
(봉무) 삼상향이 끝날 무렵 재랑은 강신 잔을 받들어 초헌관 옆으로 나아가면 축사가 일어나 이를 받아 다시 초헌관 우측에 꿇어 앉아 초헌관에게 드리면 초헌관은 강신 잔을 받들었다가 모사 상에 붓고서, 잔을 축사에게 주고, 일어서며, 축사는 잔을 받고 일어나 재랑에게 건네면 재랑은 준소로 돌아와 잔을 제자리에 올려놓는다.
알자(부르오)
◉ 行初獻禮 행초헌레
(해설) 초헌례를 행합니다.
◯ 謁者贊初獻官跪 알자찬초헌관궤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도움을 받으며 끓어 앉습니다.
알자(부르오)
◯ 執盞獻盞 집잔헌잔
(해설) 초헌관은 잔을 받들어 올립니다.
(봉무) 초헌관이 신위 전에 꿇어앉는 동시에 재랑은 잔을 받들어 축사에게 주며, 축사는 잔을 받아 대축과 초헌관 좌우에서 동시에 꿇어앉아 축사가 초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알자가 “집잔헌잔”을 아뢰면, 초헌관이 잔을 높이 받들었다가 대축에게 준다.
대축과 축사가 동시에 일어서며 대축은 잔을 제상 서쪽 반앞에 올리고 자리로 돌아와 서며, 재랑이 다음 잔을 받들어 축사에게 주면 축사는 잔을 받아 초헌관 우측에 꿇어앉아 초헌관에게 잔을 드린다.
알자가 “집잔헌잔”을 아뢰면, 초헌관이 잔을 높이 받들었다가 축사에게 준다. 축사는 일어나 잔을 제상 동쪽 반 앞에 올리고 자리로 돌아와 선다. 아헌례와 종헌례도 이와 같다.
알자(부르오)
◯ 大祝進炙 대축진적
(해설) 대축이 적을 올립니다.
(봉무) 축사가 적을 받들어 초헌관 우측에 꿇어앉아 초헌관에게전하면 초헌관은 이를 약간 높이 받들었다가 대축에게 준다. 대축은 적을 제상 4열 가운데 올린다.
알자(부르오)
◯ 大祝啓盖西柄正匙箸 대축계개서병정시저
(해설) 대축이 반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자루가 서향 하도록 가지런히 시접위에 올려놓습니다.
(봉무) 대축은 반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과 젓가락 자루가 서향하도록 가지런히 시접위에 올려놓고 자리로 돌아온다.
\알자(부르오)
◯ 謁者贊初獻官俯伏興小退跪 알자찬초헌관부복흥소퇴궤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도움을 받아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조금 뒤로 물러나 무릎을 꿇고 앉습니다.
알자(부르오)
◯ 亞獻官終獻官執事及叅班員俯伏 아헌관종헌관집사급참반원부복
(해설) 아헌관 종헌관 집사자 참반원은 복합니다.
(봉무) 모두 그 자리에서 부복하는데 이 때 재랑과 사준은 북향하여 부복한다.
알자(부르오)
◯ 大祝初獻官之左東向跪讀祝 대축초헌관지좌동향궤독축
(해설) 대축이 초헌관 좌측에서 동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습니다.
알자(부르오)
◯ 諸獻官執事及叅班員興平身 제헌관집사와참반원흥평신
(해설) 제헌관 집사와 참반원은 일어섭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初獻官降復位 알자인초헌관강복위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배석으로 내려갑니다.
(봉무) 알자는 초헌관이 동문으로 나와 자리로 내려가도록 인도한다.
알자(부르오)
◉ 行亞獻禮 행아헌례
(해설) 아헌례를 행합니다.
◯ 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洗訖 알자인아헌관예관세위세흘
(해설) 아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습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亞獻官陞自東階詣罇所北向立 알자인아헌관승자동계예준소북향립
(해설) 아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동계로 올라 준소에 나아가 북향하여 섭니다.
알자(부르오)
◯ 司罇酌酒齋郞以盞受酒 사준작주재랑이잔수주
(해설) 사준이 술을 따르고, 재랑이 잔을 들어 술을 받습니다.
(봉무) 아헌관이 북향하여 서면 재랑은 아헌 잔을 받들고 사준은 제주 주전자를 들어 술을 가득 따르는데, 두 잔이다. 아헌관은 이를 살핀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亞獻官詣神位前跪 알자인아헌관예신위전궤
(해설) 아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신위 전에 나아가 꿇어앉습니다.
알자(부르오)
◯ 執盞獻盞 집잔헌잔
(해설) 아헌관은 잔을 받들어 올립니다.
(봉무) 초헌례와 같다.
알자(부르오)
◯ 謁者贊亞獻官俯伏興平身 알자찬아헌관부복흥평신
(해설) 아헌관은 알자의 도움을 받아 부복하였다가 일어섭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亞獻官降復位 알자인아헌관강복위
(해설) 아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배석으로 내려갑니다.
(봉무) 알자는 아헌관이 동문으로 나와 자리로 내려가도록 인도한다.
알자(부르오)
◉ 行終獻禮 행종헌례
(해설) 종헌례를 행합니다.
◯ 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洗訖 알자인종헌관예관세위세흘
(해설) 종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관세위로 나아가 손을 씻습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終獻官陞自東階詣罇所北向立 알자인종헌관승자동계예준소북향립
(해설) 종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동계로 올라 준소에 나아가 북향하여 섭니다.
알자(부르오)
◯ 司罇酌酒齋郞以盞受酒 사준작주재랑이잔수주
(해설) 사준이 술을 따르고, 재랑이 잔을 들어 술을 받습니다.
(봉무) 종헌관이 북향하여 서면 재랑은 종헌 잔을 받들고 사준은 제주 주전자를 들어 술을 가득 따르는데, 두 잔이다. 종헌관은 이를 살핀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終獻官詣神位前跪 알자인종헌관예신위전궤
(해설) 종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신위 전에 나아가 꿇어앉습니다.
알자(부르오)
◯ 執盞獻盞 집잔헌잔
(해설) 종헌관은 잔을 받들어 올립니다.
(봉무) 초헌례와 같다.
알자(부르오)
◯ 謁者贊終獻官俯伏興平身 알자찬종헌관부복흥평신
(해설) 종헌관은 알자의 도움을 받아 부복하였다가 일어섭니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終獻官降復位 알자인종헌관강복위
(해설) 종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배석으로 내려갑니다.
(봉무) 알자는 종헌관이 동문으로 나와 자리로 내려가도록 인도한다.
알자(부르오)
◯ 大祝揷匙印箸 대축삽시인저
(해설) 대축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쳐서 놓습니다.
(봉무) 대축은 고위의 반중에 숟가락 등이 서쪽으로 가도록 꽂고, 시접 위의 젓가락을 들어 세 번 가볍게 친 다음 시접위에 자루가 서쪽으로 가도록 올려놓는다. 이때 축사도 비위의 반중에 삽시한다.
알자(부르오)
◯ 大祝及祝史齋郞司罇闔門降復位 대축급축사재랑사준합문강복위
(해설) 대축과 축사 재랑 사준이 문을 닫고 배석으로 내려옵니다.
(봉무) 대축과 축사 재랑 사준은 서문으로 나와 대축은 동문 오른쪽 고리를 잡고, 축사는 동문 왼쪽 고리와 중앙 문 오른쪽 고리를 잡으며 재랑은 중앙문 왼쪽 고리와 서문 오른쪽 고리를 잡고, 사준은 서문 왼쪽고리를 잡고 북향하여 선다. 문을 잡고 고리를 풀면 일시에 문을 닫는데 서문은 사준이, 중앙문은 재량이, 동문은 축사가 닫으며, 문을
닫으면 동향하여 서고, 대축이 내려가면 축사, 재랑, 사준이 그 뒤를 따라 내려온다.
알자(부르오)
◯ 諸獻官執事及叅班員俯伏 제헌관집사급참반원부복
(해설) 헌관 집사자 참반원은 부복합니다.
◯ 諸獻官執事及叅班員興平身 제헌관집사급참반원흥평신
(해설) 헌관 집사자 참반원은 일어섭니다.
알자(부르오)
◯ 大祝先出喉聲諸執事啓門各就位 대축선출후성제집사계문각취위
(해설) 대축은 먼저 나아가 기침 소리를 내고 이어서 제 집사가 문을 열고 봉무할 자리로 나아갑니다.
(봉무) 대축이 먼저 나아가 동계로 올라가고, 제 집사가 뒤 따른다. 대축은 신위 전을 지나면서 “으흠”하고 인기척을 세 번 내고 서문 앞에 서고, 축사는 중앙 문, 재랑과 사준은 동문 앞에 서서 일시에
문을 열고 고리를 고정한 후 봉무 할 자리로 들어간다.
알자(부르오)
◉ 行進茶禮 행진다례
(해설) 갱을 물리고 숙랭을 올리는 예를 행합니다.
◯ 大祝退羹進茶三抄飯和茶暫竢候 대축퇴갱진다삼초반화다잠사후
(해설) 대축이 갱을 물린 다음 숙랭을 올리고 반을 조금씩 세 번 말고 잠시 기다립니다.
(봉무) 대축과 축사가 신위 전 제상에 나아가 마주보고 서고, 사준이 숙랭을 따르면 사준과 재랑이 동시에 숙랭을 받들고 재랑은 대축 옆으로 나아가고 사준은 축사 옆으로 나아간다.
대축과 축사는 동시에 갱을 내리고 갱을 내린 자리에 숙랭을 올린다. 이 때 재랑과 사준은 갱을 받아 자리로 돌아간다.
대축과 축사는 반를 조금씩 세 번 숙랭에 말은 다음 숟가락을 숙랭 그릇에 자루가 서향하도록 놓고 잠시 기다렸다가 자리로 돌아온다.
알자(부르오)
◉ 行辭神禮 행사신례
(해설) 신을 작별하여 보내드리는 의례를 행합니다.
◯ 謁者引諸獻官鞠躬再拜興平身 알자인제헌관국궁재배흥평신
(해설) 모든 헌관이 알자의 인도로 두 번 절하고 일어섭니다.
→ 알자가 전창(傳唱)한다. : 제 헌관 국궁, 배. 흥. 배. 흥 흥평신
알자(부르오)
◯ 叅班員鞠躬再拜興平身 참반원국궁재배흥평신
(해설) 참반원이 두 번 절하고 일어섭니다.
→ 집례가 전창(傳唱)한다. : 참반원 국궁, 배. 흥 .배. 흥 흥평신
알자(부르오)
◯ 大祝撤匙箸合飯盖移盞 대축철시저합반개이잔
(해설) 대축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두고, 반의 뚜껑을 닫고, 술잔을 약간 앞으로 옮깁니다.
(봉무) 대축은 제상 좌측에서 고위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두어 시접기에 넣고 반의 뚜껑을 덮고 고위의 술잔을 약간 앞으로 옮긴다.
축사는 제상 우측에서 비위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두어 시접기에 넣고 반의 뚜껑을 덮고 비위의 술잔을 약간 앞으로 옮긴다.
알자(부르오)
◯ 大祝捧納神主 대축봉납신주
(해설) 대축이 신주를 들여 모십니다.
(봉무) 대축은 신주 독을 닫고 감실 문을 닫는다.
알자(부르오)
◉ 望燎 망료
(해설) 축문을 불사르는 의례입니다.
◯ 謁者引初獻官詣望燎位北向立 알자인초헌관예망료위북향립
(해설) 초헌관께서 알자의 인도로 망료위에 이르러 북향하여 섭니다.
(봉무) 초헌관은 북향하여 서고 알자는 동향하여 선다.
◯ 大祝捧祝出自正門詣望燎位西向立 대축봉축출자정문예망료위서향립
(▽) ◦揖授初獻官 ◦初獻官還授大祝 읍수초헌관 초헌관환수대축
(해설) 대축이 축판을 받들고 정문으로 나와 망료위에 이르러 서향하여 섭니다.
대축은 초헌관에게 공손히 축판을 보여드리고, 초헌관은 축을 확인하고 대축에게 되돌려 줍니다.
◯ 可燎 가료
(해설) 초헌관은 축을 불사르도록 승낙합니다.
◯ 大祝捧祝焚於燎所 대축봉축분어요소
(해설) 대축이 축을 받들고 요소에서 축을 불사릅니다.
(봉무) 대축이 축을 받들고 요소로 나아가면 알자가 뒤에 따른다. 요소에서 대축은 북향하고 알자는 동향하여 축을 불사른다.
알자(부르오)
◯ 大祝告禮畢 대축고예필
(해설) 대축이 축을 불 사랐음을 고합니다.
(봉무) 대축과 알자는 망료위로 돌아와 알자는 동향하여 서고 대축은 서향하여 서서 “예필”을 고한다.
알자(부르오)
◯ 謁者引初獻官還復位 알자인초헌관환복위
(해설) 초헌관은 알자의 인도로 제 자리로 돌아갑니다.
(봉무)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 자리로 돌아가고, 대축은 축판을 들고 서문으로 들어가 축판을 되돌려 놓는다.
알자(부르오)
◯ 監察及諸執事俱復拜位 감찰급제집사구복배위
(해설) 감찰과 모든 집사가 배위로 돌아갑니다.
(봉무) 감찰은 동계 아래로 가서 집사와 같이 집사 석으로 가며,
대축과, 축사, 재랑, 사준은 서문으로 나와 동계로 내려와 감찰 뒤를 따라 집사 석으로 간다.
알자(부르오)
◯ 監察及諸執事鞠躬再拜興平身 감찰급제집사국궁재배흥평신
(해설) 감찰과 모든 집사는 무릎을 꿇고 두 번 절하고 일어납니다.
→ 알자가 전창(傳唱)한다. : 제집사 국궁, 배. 흥. 배. 흥 흥평신
알자(부르오)
◯ 禮畢 예필
(안내) 본 예를 마쳤으나 집례와 알자가 자리로 돌아가 배례를 하고, 제향 후 의식으로 음복 례를 마쳐야 모든 의식이 끝나게 되오니, 참반원 께서는 잠시 그 자리에서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 集禮謁者復拜位鞠躬再拜興平身 집례알자복배위국궁재배흥평신
→ 대축이 전창(傳唱)한다. : 찬자, 알자 국궁 배. 흥. 배. 흥 흥평신
⚀ 음복(飮福)
(봉무) 예필과 동시에 축사, 재랑, 사준은 준소에 미리 준비한 음복주를 들고 나와 참반원에게 공손히 나누어 드리며, 고루 음복하도록 한다.
⚀ 예성(禮成)
(봉무) 헌관과 제관은 음복 후 안마당에 둥굴게 모여 서서 초헌관 또는 집례가 제향에 대한 소감을 말하며 먼저 두 손을 가슴높이로 올리며 “예성”하고 말하면 모든 제관이 이에 따라 손을 가슴높이로 올리며 “예성”이라 말하며 상호 인사를 한다.
⚀ 철선(撤饍)
(봉무) 제관은 철상을 도와 제수를 회관으로 옮기고, 회관2층에서예복을 벗어 정리 정돈한다.
|